Webhacking.kr 34번
·
Webhacking.kr
34번 문제 들어가면 경고창이 나타난다. 딱 봐도 javascript 관련 문제이다. 소스를 보면 뭔가 복잡한데, 아마 난독화가 적용되어 있는 듯하다. 난독화 순서는 다음과 같다. - 원본 코드를 알아 보기 힘들게 변수명을 바꿈 - substring 등을 이용해 문자열을 잘르고 스크립트 실행을 위해 다시 합침 - 스크립트 실행 후 원본 소스에 접근하지 못하게 원본 코드를 초기화 - 초기화 -> 변수명 = '' 초기화 부분을 찾기 위해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='' 를 찾는다. O00O 변수를 초기화 하고 있다. 크롬 콘솔에 변수명을 입력하면 원본 코드가 나온다.
Webhacking.kr 33번
·
Webhacking.kr
33번은 문제가 꽤 많다. 풀다가 힘들어 죽는줄... GET 메소드로 전송되는 "get" 파라미터의 값이 "hehe"면 다음으로 넘어갈 수 있다. 33-1 클리어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 33-1과 비슷하지만 이번에는 POST 메소드로 전송 되는 "post, post2" 파라미터의 값들이 각각 "hehe, hehe2" 일때만 다음으로 넘어갈 수 있다. (사진 안 보이면 클릭) 33-2 문제 페이지에는 POST로 전송하는 별 다른 form이 없으니 크롬 콘솔에서 위와 같이 입력해서 입력 form을 만들어야 한다. 생성된 form 입력 부분에 문제에서 요구하는 값들을..
Webhacking.kr 32번
·
Webhacking.kr
32번 문제 페이지 하단에 "Join" 버튼을 클릭한다. "Join" 버튼을 클릭하면 자신의 id 값이 생성되면서 초기 스코어는 "0/100" 으로 초기화 된다. 그리고 id를 클릭하면 스코어가 +1 된다. 짐작컨데 클리어 조건은 스코어가 100/100 이 되야 하는거 같다. 100점으로 올리기 위해 다시 한번 id를 클릭하면 오류가 나타난다. 아마 투표 중복 체크 여부를 판단하는 듯 한데 이런 경우 다음과 같은 정보를 사용한다. - User-Agent - Public IP - Cookie - Database Data 32번 문제의 경우 "vote_check" 쿠키를 통해 중복 투표 여부를 체크하고 있었다. 투표를 하고 나면 "vote_check" 값이 "ok"가 된다. 수동으로 투표하고, 쿠키 값를 통..